거리의미술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공공미술, 마을미술,벽화,타일벽화,문화예술교육,벽화강좌,참여미술,거미동,기업사회공헌활동

▶공공미술-타일벽화◀/페인팅벽화-일반벽화

가은민속시장 기둥작업과 가은철로자전거역

왕거미지누 2011. 8. 20. 21:41

가은민속시장 기둥작업과 가은철로자전거역

일시: 2011.8.14~20일

장소: 문경시 가은읍 가은민속시장 (건설중)

 

거리의미술은 지난 광복절 연휴때부터 문경시 가은읍에 건설중인

민속시장 입구 철기둥을 나무로 바꾸는 작업을 하고...오늘 마쳤다

나무는 아니고 철기둥인데 나무처럼 꾸며야 하니 결국은 나무처럼 그린다

시트지로 하면 느낌이 안나와서 사람의 손으로 붓질로 한다

지난 문학경기장 기둥작업과 이어지는 작업이다

아래 사진 ㅋㅋㅋ

 

경북 문경시 가은읍 왕능리에 건설중인 민속시장 모습

 


거리의미술은 이 민속시장 입구의 기둥을 나무처럼 꾸미는 작업을 맡았다

 

작업중인 모습....나무처럼 보이도록 하는 것이다

 


화장실이 급해서 가까운 터미널도 모른채 걷다보니 나온 가은역

 

씩씩하게 화장실을 향해 가는 루시퍼, ㅋㅋㅋ 화장실이 무섭단다

휴지도 없단다 과자사먹을 요량은 챙긴 2천원중 천원을 주었다  

 


철길은?

보니 이렇다 바로 옆에서 농사를 짓는다  안다니나?? 철로만 있다

 


가은역을 향해 가보니 슬쩍 보이는 빨래건조대

 

가은역이라고 쓰여있으나 이제는 리어커보관소거나 빨래건조대로 쓰이나 보다

역사로서의 기능은 정지되어 있다  


다시 앞쪽으로 오니 가은역이라고 분명히 보이나 열쇠로 채워져 있다

 

가은철로자전거 오시는 길 이라고 씌여져 있다

뭔가 레일바이크?? 인가? 


이제는 철로로서 기능은 하지 않는 다만 철로가 있어

관광상품으로서 철로자전거를 이용하게 하나보다

그런데 문은 잠겨있다

 


가은역 건너편 역전상회..그래도 역전이니까 역전상회는 어울린다

다만 이제는 사람이 다니지 않는 역이라는 거

 


역광장 길건너 청파다방, 놓인 자전거와 함께 소박해보인다

 

청파다방 앞에서 본 가은역

이왕이면 공공근로자라도 한명 고용하여 역을 관리하면

그리고 화장실좀 사용가능하게 하면 언제고 관광상품으로서 철로자전거가 빛나지 않을까

화장실이 또옹~하고 떨어뜨리는 것이어서 무섭기도 하거니와

핸드폰 떨어질까봐 더 걱정된다

몇미터 아래 똥위로 떨어지면 어쩌라고 ㅋㅋㅋ 


나는 쉬아를 하고 루시퍼는 응가를 하고 다시 가은민속시장으로 되돌아 가는길에 만난

요 이상한 열매 , 아마도 목련나무 열매가 아닌가 싶다

 


바로 옆에는 밤나무가 있다
올해는 밤좀 수확하겠다 송이들이 실해보인다

 

작업현장으로 가는 길에 본 수숫대

다들 어디가고 저 혼자서 외로이 서있는고
수수야 안녕? 인사를 하니 옆에 콩들이 뭐냐고 일제히 따따따댄다

허걱 놀래라 그래 니들도 안녕??

 


다시 가은읍 왕능리 민속시장 현장,

이렇게 철기둥이 나무기둥으로 바뀌었고

이렇게 작업을 마쳤다

 

지금은 리디아네 푸른화실 모기만 안물면 자기에 좋겠다

문경,울진미술인 교류전 오픈에 가서 맛있게 먹고  부페에 가서도

잘 묵었다

조심스럽게 적당히 묵을려고 했고 덕분에 좋다

역시 많이 먹는건 불편해 ~!!

ㅋㅋㅋㅋㅋ

 

 

**

가은선은 1953년 1월 18일 점촌∼가은 간(22.3km)을 착공하여 1955년 9월 l5일 개통되었으며, 처음에는 ‘문경선’이라 명명한 철도의 한 구간이었으나, 1969년에 다시 점촌∼문경 간 철도가 개통됨으로써 ‘가은선’이라 개칭하였다. 특히 이 철도는 가은 일대의 무연탄 개발을 위하여 산업철도로 건설되었다. 2004년 4월 가은선(진남역∼가은역 9.6km) 구간이 철도청에 의해 공식적으로 폐선 조치되었다. 하지만 이 지역을 찾는 관광객을 위해 레일바이크가 운행되고 있다. 가은역은 1956년9월15일 석탄공사 은성광업소 명칭에 따라 은성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1959년2월 가은역으로 명칭을 개칭하였다. 현재의 역사는 1955년 4월에 신축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가은역사는 입면에서 박공지붕형태를 보여주는 출입구는 양측에 세로로 긴 창문이 배치되어 있으며 그 밖의 창호는 원형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주거지로 변용되면서 숙직실 끝 부분을 덧달아 내는 등 원형이 다소 변형되었다. 하지만 해방 후에 건축된 목조역사로서 광복 이후 철도역사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현재 폐선된 역사 중에서 특히 한때 번창했던 석탄산업과 관련된 역사로서 희소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다.